<2016~2023년 출생아 수>는 댓글에 있어요.
년도 | 출생아수(명) | 사망자수(명) |
1970년 | 1,006,645 | 258,589 |
1971년 | 1,024,773 | 237,528 |
1972년 | 952,780 | 210,071 |
1973년 | 965,521 | 267,460 |
1974년 | 922,823 | 248,807 |
1975년 | 874,030 | 270,657 |
1976년 | 796,331 | 266,857 |
1977년 | 825,339 | 249,254 |
1978년 | 750,728 | 252,298 |
1979년 | 862,669 | 239,986 |
1980년 | 862,835 | 277,284 |
1981년 | 867,409 | 237,481 |
1982년 | 848,312 | 245,767 |
1983년 | 769,155 | 254,563 |
1984년 | 674,793 | 236,445 |
1985년 | 655,489 | 240,418 |
1986년 | 636,019 | 239,256 |
1987년 | 623,831 | 243,504 |
1988년 | 633,092 | 235,779 |
1989년 | 639,431 | 236,818 |
1990년 | 649,738 | 241,616 |
1991년 | 709,275 | 242,270 |
1992년 | 730,678 | 236,162 |
1993년 | 715,826 | 234,257 |
1994년 | 721,185 | 242,439 |
1995년 | 715,020 | 242,838 |
1996년 | 691,226 | 241,149 |
1997년 | 675,394 | 244,693 |
1998년 | 641,594 | 245,825 |
1999년 | 620,668 | 247,734 |
2000년 | 640,089 | 248,740 |
2001년 | 559,934 | 243,813 |
2002년 | 496,911 | 247,524 |
2003년 | 495,036 | 246,463 |
2004년 | 476,958 | 246,220 |
2005년 | 438,707 | 245,874 |
2006년 | 451,759 | 244,162 |
2007년 | 496,822 | 246,482 |
2008년 | 465,892 | 246,113 |
2009년 | 444,849 | 246,942 |
2010년 | 470,171 | 255,405 |
2011년 | 471,265 | 257,396 |
2012년 | 484,550 | 267,221 |
2013년 | 436,455 | 266,257 |
2014년 | 435,435 | 267,692 |
2015년 | 438,420 | 275,895 |
2016년 | 406,243 | 280,827 |
2017년 | 357,771 | 285,534 |
2018년 | 326,822 | 298,820 |
2019년 | 302,676 | 295,110 |
2020년 | 272,400 | 304,948 |
2021년 | 263,174 | 317,680 |
2022년 | 249,186 | 372,939 |
출생아와 사망자수(1970년~2022년)
<인구동태건수 및 동태율 추이(1970년~2019년)>
○ 본 자료의 출생통계(1970~2007), 사망통계(1970~2007) 혼인통계(1981~2007) 및 이혼통계(1981~2007) 수치는 통계의 일관성을 확보하고 국제비교가 가능하도록 자료원 및 집계방식을 단일화하는 등 시계열을 보정한 결과로 기존의 공표자료와 차이가 있음
□ 출생 및 사망통계
- 총 출생아수와 총 사망자수는 국내 거주 출생아수, 사망자수만을 집계
- 지연신고된 자료 집계 및 사망률, 출산율 산출시 반영
- 출생통계(1981~1996) 및 사망통계(1983~1996)의 자료는 10년간의 지연신고 누적분이 포함된 결과이며, 이후 연도는 동일한 기준으로 시계열을 비교하기 위해 해당연도 다음해 4월 신고분까지 집계한 결과임
□ 혼인 및 이혼통계
- 신고기준 집계
- 1998년 이후는 남편과 처의 주소가 모두 해외 주소 자료 제외
□ 공통사항
- 연앙인구의 자료원(추계인구, 주민인구)과 계산방식(산술평균) 일치
- 항목 표준화 및 산출방식 일치
[기본항목별]
기본항목별>합계출산율 => 합계출산율은 여자 1명이 가임기간 동안 갖게 될 평균 출생아수.
1970~1992년 합계출산율은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산출한 값으로 이용에 유의.
기본항목별>출생성비 => 출생성비는 여아 100명당 남아수.
기본항목별>영아사망률 => 영아사망률은 출생 후 1년 이내(365일 미만) 사망자 수를 해당 연도의 출생아 수로 나눈 수치를 1,000분비로 표시
□ 혼인, 이혼은 다음해 4월 말, 출생은 다음해 8월 말, 사망은 다음해 9월 말에 확정수치 공표
'통계자료 > 국내 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1995~2020년)/연령별 자료 포함 (0) | 2021.07.01 |
---|---|
2015~2020년 출생아수 및 합계출산율 (0) | 2021.06.30 |
2019 한국의 직업정보(한국고용정보원 2019 KNOW 연구보고서) (0) | 2021.05.05 |
2019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통계청) (0) | 2021.01.22 |
국가직 공무원 정원 내 교원의 비율 54.1%, 그리고 공공부문 고용과 학급당 학생수 감축까지 (2) | 2020.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