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45)
'고등교육 이수율' OECD 35개 회원국 중 한국 4위(2019년 기사) '고등교육 이수율' OECD 35개 회원국 중 한국 4위! < 교육시사이슈 < 이슈분석 < 기사본문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edujin.co.kr) '고등교육 이수율' OECD 35개 회원국 중 한국 4위! - 에듀진 인터넷 교육신문 2019년 고등교육 이수율 절반(50%) 이상 넘어설 것현재 우리 나라의 교육 수준은 전 세계적으로 매우 높다. 이는 높은 교육열이 한몫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에서 고등교육 www.edujin.co.kr https://www.yna.co.kr/view/AKR20201231120000530 "한국 25∼34세 대학 이수율 70% 'OECD 2위'…석박사는 3%뿐" | 연합뉴스 (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한국의 25∼34세 청년층의 전문대학 이..
2019 한국의 직업정보(한국고용정보원 2019 KNOW 연구보고서) http://www.keis.or.kr/user/extra/main/2102/publication/publicationList/jsp/LayOutPage.do?categoryIdx=131&pubIdx=7072&onlyList=N
OECD 영유아교육 주요 통계와 시사점(입법조사처, 2019)
GDP 대비 보건 및 사회복지서비스 인력 규모 김태완 외(2019)에서 OECD 자료를 이용해 OECD 국가들의 2016년 임금근로자 중 사회서비스업 고용 비율을 단순 비교한 결과 2016년 기준 21.8%로 OECD 회원국 가운데 낮은 수준이다. 북유럽 국가들과 대륙 유럽 중 프랑스, 미국이 사회서비스 고용 비율이 높은 편이고(30% 상회), 그 외 대부분의 유럽 국가들과 캐나다가 25~29% 수준을 보인다. 산업별로 살펴보면 공공행정 및 사회보장(O)은 4.9%로 OECD 국가들 중 매우 낮은 수준에 머물고 있지만, 교육은 7.6%로 사회서비스 고용 비율이 높은 국가들에 비해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보건 및 사회복지업은 2016년 기준 9.0%로 헝가리, 스페인, 이탈리아 등 남부유럽 국가들보다는 높은 수준이지만, 여전..
수능점수를 통한 코로나 학력격차 실증분석 minnei.tistory.com/19코로나 학력격차, 어떻게 실증분석할 수 있을까?어제밤에 자는데 (꿈속에서) 갑자기 수능점수랑 학력격차 등 생각이 복잡해져서 오늘 느즈막히 일어나서 올해 수능 분석자료를 확인해보았다. 일단 10년 사이 수능 응시자가 약 20만명 감소했다minnei.tistory.com휴일 오전, 이(minnei.tistory.com/19) 포스팅을 하고나서, 아무래도 너무 궁금해서 저녁상을 물리자마자 과목별로 그래프를 그려서 비교해보았다.(수능 표준점수로 작년과 올해 학력격차 심화 정도를 개략적이나마 비교해볼수 있을까 궁금해서2020~21학년도 수능에서의 표준점수 득점별 학생수 자료를 비교해보았다.) 올해(2020년) 고등학교 3학년이 가장 학력격차의 피해가 덜할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었..
코로나 학력격차, 어떻게 실증분석할 수 있을까? 어제밤에 자는데 (꿈속에서) 갑자기 수능점수랑 학력격차 등 생각이 복잡해져서 오늘 느즈막히 일어나서 올해 수능 분석자료를 확인해보았다. 일단 10년 사이 수능 응시자가 약 20만명 감소했다는 사실이 충격이었고, 출생아 수를 확인해보니, 다음 10년까지는 지난 10년보다는 완만하게 감소할 것 같기는 하다. 수능표준점수로 작년과 올해 학력격차 심화 정도를 개략적이나마 비교해볼수 있을까 궁금해서 20~21학년도 수능에서의 표준점수 득점별 학생수 자료를 비교해보았다. (일단 국어부터 해보았는데) 평균을 중심으로 최상위권(1등급 최상층) 학생의 증가, 그리고 9등급 최하위권의 증가가 눈에 띈다. 평균(100) 살짝 위, 5등급 구간의 증가도 보인다. 물론 난이도와 등급(컷)구간별 학생수, 응시자 수(국어에서 약 ..
출생아수/사망자수(1970년~2022년) 년도 출생아수(명) 사망자수(명) 1970년 1,006,645 258,589 1971년 1,024,773 237,528 1972년 952,780 210,071 1973년 965,521 267,460 1974년 922,823 248,807 1975년 874,030 270,657 1976년 796,331 266,857 1977년 825,339 249,254 1978년 750,728 252,298 1979년 862,669 239,986 1980년 862,835 277,284 1981년 867,409 237,481 1982년 848,312 245,767 1983년 769,155 254,563 1984년 674,793 236,445 1985년 655,489 240,418 1986년 636,019 239,256 1..
2019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통계청)